본문 바로가기
경제학에 대한 이해

흑자와 적자 (검은것은 흑자요.. 적자는 적자생존? 노잼;;)

by 재테크니션 2023. 5. 24.

 오늘은 흑자와 적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충은 알거 같은데 가끔 헷갈릴때가 있죠 오늘 포스팅을

통해 정확하게 알아보도록 해요~ 검은거 뭐 이런거 아니에요 ㅋㅋ 그럼 오늘도 팔로 팔로 미

gogogo~

 

 

 Step1. 흑자는 무엇이고 적자는 또 무엇이더냐? 

 

 흑자와 적자는 경제 용어로서 주로 국가 또는 기업의 외부 거래 결과를 나타냅니다. 간단히 말하면, 흑자는 수출이

수입보다 많을 때 발생하며, 적자는 수입이 수출보다 많을 때 발생합니다.

 

 흑자 (Trade Surplus): 흑자는 국가나 기업의 수출이 수입보다 많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국가나 기업이

외부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여 외화를 획득하는 것이 많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흑자는 일반적으로 경제적인

성과나 경쟁력이 높다고 여겨집니다. 흑자가 지속되면 외화 수급이 증가하고 국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또한, 흑자는 국내 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고용 창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적자 (Trade Deficit): 적자는 국가나 기업의 수입이 수출보다 많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당 국가나 기업이

외부로부터 제품이나 서비스를 수입하여 지출하는 것이 많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적자가 지속되면 외화 수급이

감소하고 국내 환경에 불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자 상태가 지속되면 외국으로부터의 대여나

외화 차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는 국가나 기업의 외부 부채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흑자와 적자는 국제무역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국가 경제의 건전성과 경쟁력을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그러나 흑자 또는 적자 자체가 항상 좋거나 나쁜 것은 아닙니다. 상황에 따라 흑자나 적자가 발생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균형과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Step2. 뉴스에서 경상수지 흑자니 이런 표현을 쓰던데 경상수지가 뭘까요?  

             혹시 경상도에 사는 수지(?) 하... 정말 ㅈㅅ합니다. 

 

 경상수지는 국가의 외부 거래에서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는 국제무역에서의 상품과 서비스

거래에 대한 잔고를 측정하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경상수지는 국가의 경제 활동과 국제 경제 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경상수지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첫째, 재화 수지 (Goods Balance): 재화 수지는 국가의 상품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국가가

상품을 수출하여 외화를 획득하고, 외부로부터 상품을 수입하여 지출하는 내용을 포함합니다.

재화 수지는 국가의 물질적인 상품 거래 결과를 나타냅니다.

 

 둘째, 서비스 수지 (Services Balance): 서비스 수지는 국가의 서비스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이는 국가의 서비스 부문에서의 수출 및 수입 활동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여행, 운송, 금융, 컨설팅 등

다양한 서비스 부문에서 발생하는 거래를 포함합니다.

 

 셋째, 이전 지불 및 현금 선불 (Income and Current Transfers): 이전 지불 및 현금 선불은 국가 간의 수익

분배 및 지급을 나타냅니다. 이는 국가 간의 이자, 배당금, 보조금, 개인간 송금 등의 거래를 포함합니다.

 

 이 세 가지 항목의 차이로 경상수지가 계산되며, 이 수치가 양수(흑자)이면 국가가 경상 거래에서 수출액이

수입액보다 많은 것을 나타내고, 음수(적자)이면 수입액이 수출액보다 많은 것을 나타냅니다. 경상수지는

국가의 외환 수급과 경제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며, 국가의 경제 성과와 국제 경제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Step3.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하는 요인은 뭘까? 

 

 첫째, 수출 활동 증가: 국가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해외 시장에서 수요가 높아지고 수출이 증가할 경우

경상수지 흑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경쟁력 강화: 제품의 품질, 가격 경쟁력, 기술 혁신 등을 통해 국가의 경쟁력이 강화되면 수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셋째, 원자재 가격 상승: 국가가 원자재를 수출하고 해당 원자재의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수출액이 증가하여

경상수지 흑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상수지 흑자가 지속되는 경우에도 경제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흑자가 과도하게

크면 화폐 가치 상승으로 수출의 경쟁력이 약화되거나, 내부 수요 부진으로 인해 국내 산업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균형과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tep4.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하는 요인은 뭘까? 

 

 첫째, 수입 증가: 국가의 수입이 수출보다 많아지는 경우,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수요가 증가하거나 국가가 외부로부터 더 많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수입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국내 수요 부족으로 인해 외부에서 제품을 수입하는 경우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둘째, 수출 부진: 국가의 수출이 약해지는 경우에도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출 부문에서의

문제, 경쟁력의 감소, 외부 시장 수요 변화, 원자재 가격 하락 등이 수출 부진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수출 감소로 인해 외화 수입이 줄어들면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셋째, 외환 환율 변동: 국가의 통화 가치 변동이 경상수지 적자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통화 가치의 하락은

수입 상품 가격 상승을 초래하고, 이는 경상수지 적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국내 통화의 과도한 강세로

인해 수출의 경쟁력이 약화되어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넷째, 국제 경기 침체: 국제적인 경기 침체나 글로벌 경제 불안정성이 경상수지 적자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경기 침체는 수출 수요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는 경상수지 적자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다섯째, 자원 의존성: 국가의 자원 의존성이 높은 경우에는 원자재 수입에 따른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자재의 가격 변동이나 수입량의 증가로 인해 경상수지 적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경상수지 적자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가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외부 거래 및

경제 정책을 조정해야 합니다.

 

 오늘은 흑자와 적자 그리고 경상수지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검은거 이런거 아니었구요 경상도 수지 

도 당연히 아니었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흑자, 적자 이제 헷갈리지 말고 정확히 쓰시길 바라구용

흑자는 좋은거 적자는 안좋은거 뭐 이렇게만 기억해 놓아도 크게 무방할거 같습니다. 

그럼 행복한 하루 되시구요~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굿바이 & 굿럭

댓글